3. 비트코인 선물/3-3. 비트코인 알고리즘 패턴 찾기

(바이비트 비트코인 자동매매API) 알고리즘 패턴 찾기 (16) 기본 승패 알아보기 (엑셀 IF 함수 활용)

봄이오네 2022. 12. 13. 08:07
반응형
목 차
1. 들어가며
2. 사전설명
3. IF 함수를 통한 승/패 알아보기
  1) AE7의 함수 설명
  2) 승/패를 알아보는 필요성
4. 마치며

1. 들어가며

지난 글까지는 최대값, 최소값 및 그 위치(주소)를 알아보았다.

그 방법은 오름차순 패턴시간순 패턴의 비교를 통한

OFFSET 함수, MAX, MIN 함수를 각각 이용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최대값/최소값의 주소값을 이용한 비교를 통해

기본적인 승/패를 알아보자.

 

첨부한 파일의 AE열(기본 승패)에 관한 내용의 설명이다.

(붙임1) 비트코인 패턴 만들기 (AE열, 기본 승패).xlsx
0.42MB


2. 사전설명

서두에서 승/패라고는 말했지만,

그 기준이 애매하다.

익절/손절의 타점의 대입을 통해 정확한 승률을 알고 싶은데,

아직은 각각 타점을 알 수 없으니,

 

이 글에서 말하는 승/패는

진입 후 일정 범위(20분 내)에서

최대값의 셀(행)이 먼저 나오면 승(win)으로 표기하고,

최소값의 셀(행)이 먼저 나오면 패(lose)로 표기할 예정이다.

 

long 기준, 패가 많이 나온다면, 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하락장으로 봐도 무방할거 같다.

(하락장을 함부로 논하는 것은 아니니, 오해는 하지 말자)

 

아래 < 링크 >는 ROW 함수를 통한 승/패 비교의 글이다.

 

(엑셀) 주식 자동 매매를 위한 알고리즘 패턴 찾기 (4) 패턴별 승률을 엑셀로 계산해보기 (카카오

목 차 1. 들어가며 2. 사전준비 (엑셀 함수 설명) 1) MAX(범위), ,MIN(범위) 2) MATCH(특정값, 범위, 0) 3) IF 함수를 활용하여, 2개의 행(row)에 대해 비교하여, 승/패를 부여한다 4) countifs를 활용하여, 조건에

springcoming.tistory.com


3. IF 함수를 통한 승/패 알아보기

그림. AE 열에 승/패를 표기하였다.

 

< 그림 >을 잠깐 보도록 하자.

w7열의 패턴(0.50.00.0=1)과 동일한 패턴은 i12줄(0.50.00.0=1)이다.

(w7은 오름차순 정렬, i12열은 시간순 정렬)

 

최대값 위치(z7열)와 최소값 위치(ac7열)은 앞아서 각각 31 과 18로 각각 구했다.

 

1) AE7의 함수 설명

  • AE7 셀에 입력된 함수 : IF(Z7>=AC7,"lose","win")

IF문을 이용하였다.

Z7셀이 AC7셀보다 크거나 같으면, "lose"이다.

→ "크거나 같다"는 말은 시간 상 나중(late)에 나왔다는 것이다.

     이는 최소값(AC7) 이 최대값(Z7)보다 먼저 출현했다는 말이다.

 

2) 승/패를 알아보는 필요성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익절/손절 타점을 모르는 상황에서,

위의 승/패는 아무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다만, 어느 수준에서 타점을 잡아야 하는지

감각을 잡기 위해 필요하다.

 

어떤 패턴은 익절 타점이 길고 (크게 수익이 날 수 있고)

어떤 패턴은 손절 타점이 짧아 (진입 시 금방 청산될 수 있음)

분명 타점을 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판단이 필요하다.

 

이왕이면, 특정 패턴의 win이 더 많아 수익을 많이 내면 좋은 일이다.

투자 시간 대비, 최대값이 빨리 출현하면 그 만큼 수익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4. 마치며

"승/패 알아보기"로 거창한 답변에 비하면,

글의 내용이 약간 아쉽긴 하다.

 

익절/손절 타점을 알게 되면,

좀 더 고민한 거리가 많은 거 같은데,

 

단순하게 패턴별 최대값/최소값 위치의 비교를 통한

승/패 비교는 사용자가 수익/손실을 줄지 불확실하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첨부 파일의 AH열~ 이후부터는

패턴의 최대값/최소값(AH~AQ열) 및

long/short 최대값(AU~AZ열),

그리고, 사용자가 직접 입력(BD열~BF열)하여 

수익/손실 확률을 알아볼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