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들어가며 2. 사전설명 3. 코드설명 4. 마치며 1. 들어가며 지난 글에서는 엑셀의 R1C1 셀주소 형태를 통해 엑셀의 데이터를 파이썬에 출력해보았다. R1C1 셀주소는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동적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해 유연하게 대비하려면 R1C1의 형태를 한번 정도는 숙지할 필요는 있다. 이번 글에서는 엑셀의 특정열의 갯수를 세는 방법 및 빈칸 없애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2. 사전설명 의 E열에는 몇 개의 데이터가 있는가? 언뜻 보면 11개로 보일 것이다. 구분의 "시가" 1개와 "시가값"들 10개를 합산한 11개이다. 그런데, pc 도 11개로 인지할까? 14개는 아닐까? E열의 1~3줄은 비어있긴 하지만, 카운팅하지 않을까? 실제로 E열에 어떤 데이터가 있는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