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들어가며
2. 차트 현황 ('23.5.1 ~ 5.5)
1) 월봉 차트
2) 주봉 차트
3) 일봉 차트
4) 경제지표 및 실적
① 5월 4일(목) 03:00 FOMC 회의 (예상 5.25%, 발표 5.25%)
② 5월 5일(금) 애플 1분기 실적 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③ 비농 발표 직후(전월비) (예상 180K, 실제치 230K)
3. 손익 및 반성
4. 마치며
1. 들어가며
5월 첫주 약수익(+241달러)으로 마무리하였다. 4월 손실(△896.5달러)을 충당할 수는 없겠지만, 수익은 항상 사람을 기분좋게 한다. 5월 스타트가 좋다. 이 느낌... 5월말까지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다. ^^ 5월부터는 마이크로 1계약으로 매매를 하였다.
- 2023-04-03 ~ 04-07 손익 현황 : +684달러
- 2023-04-10 ~ 04-14 손익 현황 : +260달러
- 2023-04-17 ~ 04-21 손익 현황 : △709.5달러
- 2023-04-24 ~ 04-28 손익 현황 : △1,132달러
- 2023-05-01 ~ 05-05 손익 현황 : +241달러
주목할 만한 경제지표는 1가지(비농지표 발표)이며, 이벤트는 2가지(FOMC 기준금리 결정, 애플 실적)가 있었다. 또한, 평균거래량은 감소하였고, RSI 14는 증가하였다.
- 평균 거래량 : (4.24~4.28) 67.7만 계약 → (5.1~5.5) 59.9만 계약 (△7.8만 계약, △11.5%)
- RSI 14 지표 : (4.24~4.28) 52.69 → (5.1~5.5) 55.32 (+2.63)
![](https://blog.kakaocdn.net/dn/bCxBVC/btsd0oATmCB/LjKqd0MjvhPpcvqkKIirhK/img.png)
2. 차트 현황 ('23.5.1 ~ 5.5)
※ 미니 나스닥(NQM23) 차트이다.
1) 월봉 차트
5월의 첫주는 도지형으로 마무리되었다. 5월봉 시가 13317, 고가 13370.25, 저가 13001.75, 종가 13317.75이다. 저가 13001.75가 눈에 띈다. 시가 13370에서 저가 13001.75로 △315.25p로 하방으로 빼는 모습에서 시장에 겁을 상당히 많이 주었다. FOMC 기준금리 발표로 하방으로 뺐고, 애플실적/비농지표 발표로 올라갔다.
![](https://blog.kakaocdn.net/dn/cuMOLa/btsd9eiZhnV/bceAailvRnKZBXIN0cGko1/img.png)
2) 주봉 차트
3월에는 3양봉으로 올랐다가, 4월 주봉은 횡보로 갔고, 5월에는 다시 횡보(조정)하는 모습이다. 주봉을 보니 하방으로 빼고 회복하는 모습이다.
- 주봉(4.24~4.28) : 시가 13070.00, 고가 13336.00, 저가 12800.00, 종가 13320.25
- 주봉(5.1 ~ 5.5) : 시가 13317.00, 고가 13370.25, 저가 13001.75, 종가 13317.75
![](https://blog.kakaocdn.net/dn/dLTESs/btsd0tIu5iU/52ZnvWxkKsvknqTsn5xo21/img.png)
3) 일봉 차트
5/5(금) 하루에 다 올렸다. 5/1(월) 시가 13317.00에서 5/4(목) 저가 13001.75로 거의 300p를 4일에 걸쳐서 뺐는데, 금요일 하루만에 13300p 대로 복원되는 모습에서 해선(나스닥)의 무서움을 다시 한번 느꼈다.
![](https://blog.kakaocdn.net/dn/ANfGB/btsd9MzZaUx/nXweIkGa2kpfaMmv3kCm3K/img.png)
4) 경제지표 및 실적
이번 주는 ①FOMC 기준금리 발표, ②애플실적 발표, ③비농 취업자수 발표 등 크게 3가지 이벤트가 눈에 띈다.
※ 출처 : https://economic.einfomax.co.kr/kw.html#/
![](https://blog.kakaocdn.net/dn/novuR/btsdZAoaMyr/NGOhK03Meypo9L6fJrPzx1/img.png)
① 5월 4일(목) 03:00 FOMC 회의 (예상 5.25%, 발표 5.25%)
기준금리 실적치(5.25%)가 예상치(5.25%)에 부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발표 후 나스닥 지수가 떨어졌다. 03:00분 1분봉 시가 13223.25p였는데, 03:40분 고점 13314p를 찍은 후, 07시 13044.25p까지 숨도 안쉬고 빠졌다.(300p 하락)
분명 발표치(실적치)가 예상치에 부합하였는데도 시장은 각각 다르게 해석하는걸 보면.. 해선이 정말 어렵다.
![](https://blog.kakaocdn.net/dn/du3Qja/btsd4dSrTeG/VNDkKxtl1G7RrTC0krkhm0/img.png)
② 5월 5일(금) 애플 1분기 실적 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FOMC 기준금리 발표 후 하락으로 떨어졌던 나스닥 지수가 애플 실적으로 상방 전환하였다. 지난 주(구글, 아마존 05:00 발표)를 감안하면 05:30분에 차트가 움직인게 눈에 띈다. 05:30분 시가 13043에서 고가 13093으로 50p가 한번에 뛰었다. 지수 발표 후 약간 빠지긴 했지만, 5/5(금) 07:00시 상방으로 방향을 잡은 모습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05neX/btsd9eiZhHC/yj5EekCfoEilP45RGnPgVk/img.png)
< 그림2-7 >은 애플실적 발표 후의 60분봉 차트이다. 발표 이후 숨도 안 쉬고, 5/6(토) 03:00분, 최고 13359p까지 올라갔다. 잠깜의 반등이 아니었다. 애플실적이 이렇게 시장에 파급력이 큰 것을 다시한번 확인하게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cZDv4o/btsd00TEvBR/ie8EheSYYRPkjVFl72KHeK/img.png)
③ 비농 발표 직후(전월비) (예상 180K, 실제치 230K)
비농 취업자가 생각보다 높았다. 방향성을 알 수 없었고, 5/5(금)은 시가 13060p에서 21:29분 시가 13131p까지 하루종일 올렸다. 비농지표 발표 후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되어서, 진입하지는 않았다. 지표발표 1분전인 21:29분 고가 13157.5p까지 올렸다. 지표 발표 후 저가 13085.25까지 뺐다. 거의 80p가 왔다갔다 하였구나.... 무섭다.
지표가 좋았는데도, 이렇게 밑으로 빼버리니.. 정말 어떻게 매매를 해야할지 모르겠다. 근데 더 신기한건, 21:30분 하방으로 저렇게 빼더니, 다시 회복을 하는게 더 신기했다. 22:32분에는 13159.50p까지 올라가는걸 보고... 매매하는게 점점 두려웠다.
![](https://blog.kakaocdn.net/dn/kOY4i/btsdZNOhJMm/H5S2v47DGCiHvuvH1aPt11/img.png)
비농 취업자수 발표와 애플실적이 합쳐져서 차트를 들어올린 모습이다. 개인적으로 애플실적이 차트 상승의 원동력이 아니었나 싶다.
![](https://blog.kakaocdn.net/dn/d3RKYL/btsd4dEUEVx/OdcYLHPyLbi89HB215B0n0/img.png)
3. 손익 및 반성
목요일 하루 빼고 일별손익은 수익이었다. 화~수까지 수수료를 제외하면, 14달러, 32달러로 수익이 너무 작았다. 진입 코드를 바꾸어야하나? 생각을 하던 와중 목요일(5/4)에서 102달러의 손실이 발생하여, 5/5(금) 아침부터 진입코드를 수정하였다. 다행히 금요일(5/5) 일별손익 114.50으로 마무리 되어, 기분이 좋았다.
일단 계약수를 1계약으로 낮춘게 주요했던 것 같다. 2계약으로 수익을 내면 좋겠지만, 4월 3주~4주 손실을 감안하면, 시스템 매매로 수익이 안정적으로 발생하기 전까지는 1계약으로 매매를 해야겠다.
또한, 화~목 3일간 진입/청산이 너무 많았다. 화(56달러), 수(34달러), 목(40달러) 등 3일간 130달러이다. 수수료도 그렇지만, 진입/청산이 많은건, 진입 코드를 더 빡쎄게 조일 필요가 있어보인다. 변동성이 심한 변화는 언제 발생할지 모른다. 금요일(5/5)과 같이 26달러(13번 진입/청산)이 적당하지 않을까 싶다.
![](https://blog.kakaocdn.net/dn/qPpoE/btsdZzCLXZV/ZZR4b41nOXSI5KoLcLuLKK/img.png)
4. 마치며
2계약 매매를 할 때 수익에 대한 부담이 있었던 것 같다. 어쩌다 수익이 날때는 기분좋았지만, 손실이 날때는 감당할 수 없는 스트레스가 나를 압박하였다. 1계약으로 하면 큰 수익을 낼 수는 없겠지만, 큰 손실도 피할 수 있지 않을까? 마음편한 매매가 최고인 것 같다. 마이크로 1계약을 하니 매매할 때 한결 홀가분하다.
해선으로 수익내자고 생각했던 2022년 4월 이후 1년이 조금 넘었다. 처음 시작할 때 3년 수익 목표로 생각했는데, 이렇게 시스템도 돌릴 수 있고.... 지난 1년 동안 파이썬 시스템에 정말 신경을 많이 썼구나. 조금만 더 참고, 시스템 수정을 하면 좋은 날 오겠지...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 조바심을 내지 말고, 인내심을 가지고 수익 내는 데에만 집중하자!
'2. 해외선물 > 2-7. 해선 손익일지 (주간, 일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선 주간 손익일지) 나스닥 '24.12.16(월) ~ 12.21(금) 손익현황 (+43달러), FOMC 경제전망보고서, 네 마녀의 날 (1) | 2024.12.23 |
---|---|
(해선 주간 손익일지) 나스닥 '23.11.6(월) ~ 11.10(금) 손익현황 (+197달러) (5) | 2023.11.12 |
(해선 주간 매매일지) 나스닥 '23.6.12 ~ 6.16 (+1,547달러) (CPI, PPI 발표) (4) | 2023.06.17 |
(해선 주간 매매일지) 나스닥 '23.4.24 ~ 4.28 (△1,132) (1분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아마존 실적 발표) (0) | 2023.04.29 |
(해선 일일 매매일지) 나스닥 매매 (2023-04-24, 월) (△212.5달러) (0) | 2023.04.26 |
(해선 일일 매매일지) 나스닥 매매 (2023-04-20, 목) (△434.5달러) (2) | 2023.04.24 |
(해선 일일 매매일지) 나스닥 매매 (2023-04-19, 수) (△257달러) (2) | 2023.04.23 |
(해선 주간 매매일지) 나스닥 '23.4.17 ~ 4.21 (△709.5) (0) | 2023.04.22 |